[淸聲자진한잎]
淸聲曲 또는 堯天舜日之曲이라 불리우는 청성자진한잎은 전통 가곡의 마지막 곡인 太平歌를 기악곡으로 변화 시킨 곡이다. 자진한잎은 가곡의 원류가 되는 數大葉의 순 우리말로서 높고 맑은 소리(淸聲)로 연주하는 태평가의 변주곡이 바로 청성삭대엽, 즉 청성자진한잎인 것이다. 이 곡의 짜임새는 가곡과 같이 전 5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3장과 4장 사이에는 간주격인 中餘音이 있으며 음악적 특징은 주자의 기량에 따라 잔가락을 가감하면서 연주하고 박의 길이도 주자의 호흡에 따라 자유로이 변화 할 수 있다는 점이다. 평조회상의 상령산과 더불어 대금의 대표적인 독주곡 중의 하나이다.
[時調]
흔히 正歌라 하면 歌曲, 歌詞, 時調를 일컬음인데 가곡이 전문가의 노래라면 시조는 누구나 부르기 수월하고 보편적인 노래라 할 수 있다. 시조는 서울 지방을 중심으로 한 京制, 경상도 지방의 嶺制, 전라도 지방의 完制, 충청도 지방의 內浦制 등이 있는데 크게 서울, 경기 지방의 京制와 지방의 鄕制로 분류하기도 한다. 시조는 가사나 선율에 따라 평시조, 중허리시조, 지름시조, 사설지름시조, 우조평시조, 우조지름시조, 각시조, 엮음지름시조 등의 여러 형태의 곡이 전한다.
<平調會相>오늘날 靈山會相은 絃樂靈山會相과 平調會相, 그리고 管樂靈山會相의 세가지 곡이 전하지만 원래는 영산회상(현악영산회상) 한 곡이었다. 古樂譜를 보면 영산회상은 靈山會相佛普薩 일곱자의 가사를 가진 불교 계통의 聲樂曲이었으나 후대로 오면서 점차 가사는 없어지고 기악곡으로 변화하여 上靈山이 되고 다시 中靈山, 細靈山, 加樂徐只(가락덜이)등의 파생곡이 생겨나고 당시 유행하던 上絃還入(상현도드리), 下絃還入(하현도드리), 念佛還入(염불도드리), 打令, 軍樂을 포함하여 총 아홉 곡의 일대 조곡을 이루게 되었다. 평조회상은 현악영산회상을 4도 아래로 移調한 곡으로 영산회상의 여섯째 곡인 하현환입을 제외한 여덟 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야금, 거문고 등 관현악기를 모두 편성함이 원칙이나 이 음반에는 대금, 피리, 해금, 장구만을 편성하여 연주하였다.
대금/곽진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교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수석
한국창작음악연구회 회원
영남대학교 강사
현)KBS 국악관현악단 재직
대금연구회 이사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김성진, 이상룡, 홍종진 선생께 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