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부타령 전집
경기 한강 이북에서 노랫가락과 함께 불리던 장절무가가 민요화한 것으로 예전에는 무가의 사설을 그대로 부른 것이 많았으나, 근래에는 속화하여 순수한 민요사설을 부른다, 굿을 베풀 재가에 삭망을 섬기고 복을 빌며 굿거리에 맞추어 무당이 혼자서 부르던 노래로 매우 흥겹고 멋진민요.
노랫가락 전집
경기지방에서 무당이 굿을 하면서 청배할 때와 공수 다음에 불렀던 노래인데, 고종때 궁중에 드나들던 무녀들이 노래의 품격을 높이기 위해 궁중무의식에 시조시를 언정 부른 것이 민중에 퍼져 속가로서 널리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노랫가락이란 노래의 가락이란 뜻으로 정가에 속하는 가곡이나 가사, 시조 등을 칭하던 옛말인 소리를 관습에 따라 노래한 것이며, 시조, 즉 노래를 얹어 부른 가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