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편안하고 듣기 편한 명상음악
한국 고유의 아름다운 소리를 재발견하다...
잊혀진 “훈”소리를 찾아서...
흙, 물, 불, 바람을 품은 소리 훈(塤)소리는 장 원시적인 악기이다. 인간이 불을 발견하고 인간의 문명이 발달 했듯이 인간이 최초로 흙을 빚어서 생활 용품을 만들고, 또 악기를 만들었다. 태초의 소리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자연을 소재로 한 흙, 물, 불의 소리 즉, 훈(塤)의 소리일 것이다.
훈이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 된 것은 ‘고려 예종 때 송나라에서 대성아악이 들어와 등가와 헌가에 사용되었다’고 세종실록 악기도설은 전하고 있다. 훈 소리 연주가 장은렬은 훈소리에 푹 빠져 다양한 연구와 개량으로 지금의 1취구 8지공의 개량 훈이 탄생하였다.
운지법은 전통 훈에 비하여 반음 포함하여 5개의 음을 더 낼 수 있도록 확장 개량 하고 파지법(把指法)을 고려하여 새로운 운지법을 만들었으며, 특히 우리나라 전통 음계 ‘평조’를 바탕으로 서양음계와 평조음계를 고려하여 우리나라 전통 음악은 물론 서양 음악도 자유롭게 연주 할 수 있도록 운지법을 확립하였다.
남들이 주목하지 않은 이 훈소리에 매료되어 연구 개량에 정진한 것이 벌써 11년째.. 1년을 기획하고 녹음 작업은 3년을 준비하여 음반을 발매하게 되었다. 이번 음반을 시작으로 우리나라에도 ‘개량 훈’이라는 악기가 있다는 사실을 알리고자 한다.
1. 봉순(鳳順)
2. 길
3. 단지
4. 푸른 밤의 꿈
5. 무상
6. 호수에 달빛 가듯이
7. 홀로 아리랑
8. 가을밤
9. 섬 집 아기
10. 엄마야 누나야
11. 상주모심기 소리
12. 아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