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산회상(靈山會相, 重光之曲)
<영산회상>은 오늘날 전승되는 풍류음악의 대표적인 기악곡이다. <영산회상>의 본래 의미는 석가여래가 영취산(靈鷲山)에서 설법할 때의 모임을 뜻한다. 조선 전기에 편찬된 권5의 『시용향악정재도설(時用鄕樂呈才圖說)』에 따르면 ‘영산회상불보살(靈山會相佛菩薩)’이라는 가사가 있는 성악곡으로 불렸다고 기록되었고, 세조대의 음악을 실은 『대악후보(大樂後譜)』에도 ‘영산회상불보살’의 가사와 함께 선율이 기록되어 있다. 이로 볼 때 조선 초기 <영산회상>은 불교적 색체가 강한 성악곡으로 알 수 있다. 그러나 조선 중기를 거치며 풍류방의 풍류객들에게 사랑을 받으면서 가사는 탈락되고 많은 변주곡과 파생곡이 만들어졌고 <영산회상>은 성악곡에서 기악곡으로 변화하였다. 기악화 된 이래 <상령산>에서 여러 파생곡들이 출현하게 된다. <상령산>을 높게 변주한 <중령산>, 본래 20박이던 <중령산>을 빠르게 변주한 <세령산>, <세령산>의 잔 가락들을 덜어 낸 <가락덜이>, 6박으로 된 <삼현도드리>와 이보다 음역이 낮은 <하현도드리>가 파생되고,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이 붙여졌다.
오늘날 연주되는 <영산회상(重光之曲)>은 거문고가 음악의 중심선율을 연주하는 중요한 악기이기 때문에 <영산회상>을 <거문고회상> 또는 <현악영산회상>이라고도 한다. 본래 <영산회상>의 악기편성은 거문고 • 가야금 • 해금 • 단소 • 세피리 • 대금 • 장구 • 양금의 줄풍류 편성으로 연주되지만 이번 음반에서는 가장 중심선율을 연주하는 거문고와 한국의 대표적인 선율악기인 대금으로 연주하였다.
- 천년만세(千年萬歲)
<천년만세>는 조선후기 풍류방 선비들이 <영산회상> 전곡 연주에 이어 뒷풍류로 즐겨 연주하던 곡으로, 고려시대 송(宋)나라에서 수입된 당악(唐樂)의 하나인 보허자(步虛子)에서 파생된 <계면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의 세 곡을 차례로 연주할 때 부르는 아명이다. 주로 <영산회상>에 이어서 연주되는데, <천년만세>가 함께 연주될 때의 <영산회상>을 통칭하여 <가진회상>이라 부르기도 한다. <계면가락도드리>는 타령장단과 흡사하여 능청거림의 느낌이며, <양청도드리>는 같은 박자지만 잰걸음을 걷듯 경쾌한 느낌으로 빠르게 몰아가고, <우조가락도드리>에서는 다시 원래의 낭창한 박자로 늘어져 마친다. <천년만세>란 ‘아주 오랜 시간’을 뜻하는 것으로, 천년만년 수명이 이어지는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있다. 악기 편성은 거문고 • 가야금 • 해금 • 단소 • 세피리 • 대금 • 장구 • 양금의 줄풍류 편성으로 연주되지만 이번 음반에서는 거문고와 대금으로 구성하여 연주하였다.
- 영산회상(靈山會相, 重光之曲)
1. 상령산 Sangryeongsan
2. 중령산 Jungryeongsan
3. 세령산 Seryeongsan
4. 가락덜이 Garakdeori
5. 삼현도드리 Samhyeondodeuri
6. 하현도드리 Hahyeondodeuri
7. 염불도드리 Yeombuldodeuri
8. 타령 Taryeong
9. 군악 Gunak
- 천년만세(千年萬歲)
10. 계면가락도드리 Gyemyeongarakdodeuri
11. 양청도드리 Yangcheongdodeuri
12. 우조가락도드리 Wujogarakdodeu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