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적으로 새것처럼 양호한 상태.
<<< 이현도의 프로듀싱과 초호화 라인업이 빚어낸 힙합 클래식의 완성 >>>
* Chaper # 1 : 힙합의 시대가 도래(到來)하다.
- 90년대 초반부터 메인스트림으로의 조짐을 보이던 힙합은 21세기에 접어들며 더 이상 비주류의 문화와 음악이 아니다. 최근 몇 년간 입증된 힙합의 엄청난 성공은 비단 미국의 상황만은 아니어서 전세계 어디를 가더라도 힙합은 젊음을 대변하는 엄청난 코드로 성과를 거두고 있다.
- 발라드, 댄스의 커다란 이분법과 주변의 음악들로 정의 내려져온 보수적인 국내 시장도 이젠 힙합이란 장르로 하여금 재편될 실정이다. 특히 음반 시장이 완전히 망가진 2004년에 이르러 한국의 힙합 시장은 오히려 부흥하는 계기를 맞게 됐다. 기성의 네임벨류를 가지고 있던 아티스트뿐 아니라 가요 바닥에서는 족보를 찾아볼 수 없던 신예들까지 가세하여 앨범이 발매되는 족족 앨범 판매 차트 상위권을 누비는 기현상을 연출했다.
- 수많은 드라마, 광고, 영화에는 기본 옵션처럼 힙합이란 인자를 하나의 축처럼 사용하고 있고, 대부분의 가요 앨범에서도 힙합의 코드는 빼놓을 수 없는 메뉴로 등장한다. 파티 및 클럽의 트렌드는 이미 힙합으로 넘어온지 오래고,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마저도 힙합 라인 개발을 앞다투어하고 있는 모습을 보더라도 힙합은 이미 문화로서 우리 곁에 가까이 파고 든 셈이다.
- 하지만, 아직도 한국 힙합은 무엇인가 2% 부족하다. 천편일륜적인 가사, 새로운 스타일에 빗나가고마는 촌스러운 비트, 씬을 이끌어갈 리더의 부재, 그리고 한국 힙합씬이 고질적으로 안고 있는 전혀 힙합스럽지 못한 비즈니스 마인드... 이젠 명쾌한 해답을 제시할 대안이 하나쯤은 보여질 때도 되지 않았는가?
- 한국에 힙합이란 용어를 처음 들여왔고, 그 대중적인 가능성을 제시했던 하나의 전설. 그 자양분을 먹고 자라 어느덧 이 씬의 주춧돌로 성장한 시행자들. 이들의 과거부터 현재까지를 함께해온 수많은 조력자들. 그리고, 과거와 현재를 미래로 도약시킬 기대주들. 지금부터 이 모두가 만나 펼친 한국 힙합의 새로운 역사이자 기록에 대한 얘기가 시작된다.
* Chapter # 2 : Welcome Back! Legendary D.O aka 이현도
- 이현도. 이젠 일부 나이어린 친구들에게는 기억하기 조차 힘든 이름. 하지만, 적어도 이 땅에서 힙합 혹은 흑인음악을 좋아하거나 직접 그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는 영원한 프론티어이자 전설로 남아있다.
- 90년대 초중반 당대 최고의 뮤지션이라 칭송 받은 서태지와 함께 인기와 실력면에서 한국 대중음악계를 대표했던 가수, 프로듀서, 작곡자 이현도. 하지만, 그는 초절정의 상종가를 구가하던 듀스의 해체와 팀동료이자 오랜 친구인 김성재를 떠나보내며, 더 이상 연예인이 아닌 충실한 음악인의 길을 선택했다. 대중성 보다는 새로운 작업들에 관심을 집중했고, 화려한 스포트라이트 보다는 음악적인 도전에 탐구를 거듭했다. 그리고, 보다 큰 시장에서의 작업을 위해 그는 홀연 단신 미국으로 건너갔다.
- 정상에 서서 발표했던 모든 앨범을 수십만장씩 판매하던 뮤지션이 어느날 갑자기 선배 뮤지션 기타리스트 한상원과 정통 훵크 앨범 [D.O Funk]와 한국에서 시기상조였던 힙합을 재료로한 앨범 [완전힙합]을 발표했다는 사실은 이 바닥 정서에 비춰볼 때 납득이 안갈 수 있는 사건이었다. 하지만, 그는 무엇보다도 자기 스스로에 대한 물음과 답이 더 중요했다고 얘기한다.
- 그는 여전히 아무에게나 곡을 써주지 않는 가장 값비싼 프로듀서 중 하나이지만, 미국에서의 음악 공부와 작업은 항상 초심의 마음으로 한결 같았다. 마돈나의 넘버원 싱글 ‘Open Your Heart'를 비롯하여 많은 히트곡을 양산한 RMC 프로덕션의 소속 프로듀서로 선진 음악 시장의 여러모습들을 몸으로 체득하고, 이제 조금씩 그 결실을 거둬가고 있다. 유난스레 비즈니스를 앞세운 미국 진출도 아니며, 한국에서의 명예와 인기를 우려먹는 그런 편법도 없었다. 세계 시장의 트렌드를 읽으며, 퀄리티로 납득이 가는 그런 세계적인 프로듀서 길을 스스로가 만들어가고 있는 중이다.
- 2000년 [완전힙합] 이후 4년이 다되도록 이현도의 귀국은 단 한두번 짧은 여정으로 있었을 뿐이다. 과연 그 동안 미국에서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그간 매스컴에 크게 노출되지 않았을 뿐 그의 행보는 한시도 멈춤이 없었다. 디베이스 2장 앨범을 전체 프로듀싱했으며, 이효리, 렉시, 김범수, 김종국, 디제이 디오씨, 주석 등 많은 가수들의 앨범에 작곡과 프로듀서로 참여를 해왔다. 뿐만 아니라 빌보드 댄스 차트 1위를 기록한 싱가폴 여가수 Sun의 데뷔 앨범, 스눕독 등 유명 래퍼들이 참여한 미국 힙합 컴필레이션 [West Coast Player'z] 등의 각종 앨범 프로듀싱, 리믹스 작업, 영화음악을 해외 뮤지션과 펼쳐왔으며, 현재에는 초특급 일본 뮤지션들과 작업중이다.
* Chapter # 3 : phat beat + ill rhyme + big collabo = THE NEW CLASSIK
- 사카모토 류이치나 질베르토의 음악부터 벨벳 리볼버, 푸 파이터스의 광폭한 사운드까지 다양한 음악에 스스로가 매니아임을 자처하는 이현도이지만, 흑인음악, 특히 힙합에 대한 그의 관심과 사랑은 정말 남다르다. 왠만한 신보와 잡지는 모두 구입하여 트렌드를 분석하고, 한국에서 힙합한다는 후배들에 대해서는 남다른 애정을 가지고 코넥션을 만들어왔다.
- [The New Classik]은 수년간 미국에서 보고 듣고 습득한 아이템을 후배들의 협연을 통해 완성해보자라는 소박한 의도에서 시작됐다. 많은 후배 래퍼들의 스킬이 일취월장 발전하고 있음을 놀라며, 새로운 무언가를 함께 할 수 없을까라는 물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리하여 본작에는 이현도와 많은 힙합 스타들이 근 10년간 듣고, 따라하고, 새롭게 탄생시킨 다양한 각도의 스타일들과 진보적인 새로운 트렌드들이 혼합되어있다.
- 어찌보면 본작은 이현도 프로듀서 앨범임과 동시에 컴필레이션 앨범의 두가지 성격을 동시에 담고 있는 셈이다. 다른 각도로는 전설에 대한, 혹은 동료에 대한 헌정과 배려가 담겨 있기도 하다.
- 어쨌거나 [The New Classik]은 새로운 한국 힙합의 시작이자 텍스트로의 기능을 충분히 할 그런 앨범이다. 40여명이 넘는, 그것도 어느 정도 씬의 입지를 구축한 뮤지션들이 한 앨범에 함께 한다는 것은 굉장히 부담스럽고 어려운 일이다. 서로간의 스케쥴과 이해관계가 맞아야 하고, 현실적인 상황과도 부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엄청난 시간과 노력의 프로젝트는 그렇기에 그 만큼의 얘깃거리들을 담고 있는 것이다.
- 앞서 기술한 이현도의 프로듀싱에 관한 부분은 차치하더라도 최근 근황을 알 수 없었던 스타들을 다시금 마이크 앞에 서게 했다는 점은 가장 큰 키포인트가 아닐 수 없다. ‘이준과 이현도의 첫 만남’ 90년대를 석권했던 듀스와 솔리드였지만, 마음속에 힙합과 랩의 이상을 꿈꿔왔던 그들이기도 했지만, 이들이 함께 작업을 했었던 기억은 전무하다. 90년대 우리식의 올드스쿨을 기억하는 세대에게는 삶을 추억하게 만드는 이슈가 아닐 수 없다.
- 신화 멤버인 에릭의 첫 힙합 도전기이자 이민우의첫 외부 피처링이라는 점도 화제거리이다. 평소 듀스와 이현도를 우상으로 여겨온 이들이기에 남다른 애정을 가지고 작업에 임했다는 후문이다.
- 초기 녹음부터 촬영과 영상 아이템 등 여러부분에 관여해온 김세훈 감독의 참여도 의미있다. 김범수, 조성모 등의 블록버스터급 뮤직비디오로 스타덤에 오른 김세훈 감독의 초기 작품은 다름아닌 듀스의 노래들. 오랜만의 힙합 복귀작으로 독특한 아이디어에 영상미를 넣기 위해 직접 카메라를 들고 스튜디오에서 사는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
- 무엇보다도 [The New Classik]은 90년대 초중반 데뷔한 이현도, 이준, 디제이 디오씨를 필두로 이미 중견으로 자리잡은 김진표, 조PD, 주석, 스나이퍼에 최근 큰 주가를 올리고 있는 에픽하이, 데프콘, 바스코가 합세함은 물론 넥스트 빅 씽으로 거론되고 있는 버벌진트, 인피닛 플로우와 에릭에 이르기까지 한국 힙합의 세대를 혼합한 강력한 연합이 펼쳐졌다는 점에서 가장 큰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 Chapter # 4 : 힙합씬을 읽는 문답 혹은 키워드, 타이틀곡 2번 트랙 <힙합구조대>
1. Intro
: 한국 힙합 디제이계의 큰형님, 디제이 렉스의 장기인 ‘옛날 LP의 끊어부쳐 스토리 만들기’가 담긴 트랙. 디제이 렉스는 지금까지 300여장의 음반 세션, 200여회의 파티 디제잉을 했으며, 이현도의 [완전힙합] 활동시 객원 멤버로 함께 활동했었다.
2. 힙합구조대(Epik High, 김진표, Joosuc, 이준, Eric, 조PD, D.O feat. 김창렬, Vasco)
: 누구도 예상치 못한 화려한 라인업으로 완성된 본 앨범의 타이틀곡이자 유일한 단체곡. 네임벨류, 목소리 톤과 랩 스타일, 친분관계 등을 고려하며 라인업 구성과 녹음을 펼친 까닭에 막판까지 엄청나게 애를 먹인 트랙. 한국 힙합의 고민, 본인들이 겪은 경험, 앞으로의 희망 등을 기초로 이젠 뭔가 대안을 갖고 힙합씬을 구조해보자는 다소 건설적인 내용. 비스티 보이스가 자주 선보인 올드스쿨한 비트의 곡으로 스타스키와 허치 같은 고전 수사물의 테마를 연상케도 한다.
3. One & Only(Joosuc & D.O)
: 힙합씬의 올라운드 플레이어로 알려진 주석은 본인이 원하는 결정을 뭐든 스스로가 내린다는 점에서 이현도와 너무나도 닮아있다. 게다가 마초적인 음악성향과 약간은 고집스런 성격까지도... 주석의 3집 앨범 ‘정상을 향한 독주 2’는 주석과 이현도를 실질적으로 이어준 역사적 연결고리였다. 이들의 새로운 협연은 최근 닥터 드레 사단이 선보이는 럭셔리 힙합 간지! 한국 힙합씬의 가장 대표적인 독고다이 2명의 거침없는 자신감을 만끽할 수 있다.
4. Watch Yo' Back(Defconn & Vasco)
: 현존하는 한국 힙합씬의 가장 거친 두남자 데프콘과 바스코의 간만에 조우. 2004년 각각 2집과 1집을 발표하며 씬을 뜨겁게 달군 이 둘은 공격적인 래핑과 다양한 비유들로 매니아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랩퍼. 특히 데프콘은 다소 다정다감해진 본인의 새 앨범에 담을 수 없었던 얘기들을 무차별적으로 쏟아내며 있다. 본작을 통해 가장 하드 코어한 성향의 곡으로 수년전 있었던 퍼프 대디와 지미 페이지의 협연을 연상케 한다.
5. City of Mine(Eric & 이민우 feat. Accent)
: 앨범 발매전부터 각종 힙합 관련 사이트에 이슈를 불러일으킨 트랙. 2004년의 화두였던 에릭과 팝 그룹 신화의 메인 보컬 민우의 힙합 앨범 처녀작이라는 점만으로도 체크해 볼만한 트랙. 그동안 마음속에 담아두었던 힙합의 자신감을 담은 에릭의 랩과 솔로 앨범을 통해서 제대로 파악되지 못했던 그루비한 이민우의 보이스의 새로운 발견! 미국 메이저씬에서 제2의 이브로 새롭게 등장할 여성 랩퍼 액센트의 피처링도 곁들여져 있다.
6. 센스멋쟁이(B.U.D.A Sound-DJ DOC,45rpm ,Rhymebus, Redroc, Leo Kekoa feat. Nana)
: 디제이 디오씨가 설립한 신흥 힙합 레이블 부다 사운드의 모든 식구들이 함께한 제기발랄 클럽튠. 여기에 양동근과 주로 활동해온 Nana가 섹시한 피쳐링을 맡았다. 하이톤의 이하늘을 중심으로 각자 자기만의 색깔을 담은 에피소드로 정신없는 래핑을 쏟아놓고 있으며, 최근 각광 받는 더티 사우드 계열의 사운드를 추구한 트랙.
7. quin tes sence
: 한국 대중 음악계의 젊은 실력자 디제이 소울스케이프의 사운드 스케이프가 이현도의 비트를 자연스레 탄다. 빈티지한 것들에 대한 남다른 고찰이 짧은 소품으로 이어진다.
8. My Life, 나의 삶(Epik High)
: 2003년 최고 루키이자, 2004년 방송가를 장악한 3인조 힙합 그룹 에픽하이의 곡에는 각자의 철학과 사색이 잠겨 있다. 힙합 뮤지션이기에 늘 가질 수 밖에 없는 삶과 고민이 너무나도 진지하게 읊조려지고 있다. 미국의 Okay 플레이어에서 주로 선보이는 침잠되지만 소울풀한 느낌이 녹아있는 멋스러운 작품.
9. 나의 도리(MC Sniper)
: 구국 랩퍼 엠씨 스나이퍼의 국내 최초 본격 댄스홀 트랙. 이현도 역시 댄스홀(전세계 클럽씬을 휩쓸고 있는 자메이카 레게의 서브 장르)의 엄청난 매니아. 이국적인 비트와 빠른 랩핑을 소화할 수 있는 파트너로 스나이퍼가 선택된 이유는 조화로운 결과물이 말해준다. 미국 클럽씬의 댄스홀 마스터 Culture가 구성진 애드립을 추가 하였다.
10. 행진 90(Jed, Rhymer & D.O)
: 들국화의 행진을 인용한 트랙. 브레이크 비트의 느낌이 강조된 곡으로 90년대부터 현재까지 걸어온 각자의 길들을 얘기하고 있다. 이현도를 필두로 디베이스의 제드, 이효리와 방송활동을 해온 VJ 라이머 등이 랩을 했고, 디제이 렉스가 사이사이 유려한 스크래치로 채운 넘버.
11. 소나기(조PD)
: 2004년 ‘친구여’로 뜨겁게 부활한 조PD의 청초하지만, 조금은 장난기 넘치는 트랙. 첫 사랑의 잔잔한 서술뒤에는 조PD와 모종의 썸씽이 있었을 법한 무수히 많은 여성들의 이름이 거론된다. 과거 반항적인 가사와 래핑의 조PD만을 생각한다면 상당히 의외의 결과물로 받아들여질지도.
12. 조금 더(디기리 feat. 임석)
: 허니패밀리 출신의 리듬의 마법사 디기리와 그의 절친한 동료 임석이 함께한 트랙. 이현도가 디제이 프리모 스타일의 샘플링 베이스 힙합 비트와 여유로이 박자를 넘나드는 래핑이 황금분할을 이룬다.
13. Learned Instinct
: 이현도가 만든 거친 루프(Loop). 앨범 후반부를 여는 실험적인 인털루드(Interlude).
14. 最高(김진표 & D.O)
: 김진표가 들려주는 최고의 것들에 대한 예찬. 랩이 후반으로 치닫을수록 가사의 재미는 접입가경! 패닉, 노바소닉, 솔로 활동으로 이어지며 랩에 대한 폭넓은 음악 스펙트럼을 보여온 김진표와 흑인음악을 근간으로 한 다양한 사운드에 도전해온 프론티어 이현도의 친분 관계는 10여년 전부터 어찌보면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최근 트렌드인 넵튠스 스타일의 프로듀싱이 세련미를 더한다.
15. Ride Wit Us(Bling St★rz feat. C-Luv)
: 전형적인 웨스트코스트 계열의 지훵크(G Funk) 넘버. 마스터 플랜의 영건즈로 통하는 스퀘어(MTV VJ 수퍼사이즈와 샘으로 구성된 듀오)와 인피니트 플로우의 영지엠으로 구성된 프로젝트 블링 스타즈, 여기에 이쪽 계열 뮤지션으로는 자타공인 한국 최고 싱어 씨 러브의 유려한 보컬이 만나 바운스감 넘치는 제대로 된 Westside Shit을 뽑아냈다.
16. Living Legend(Infinite Flow & Verbal Jint)
: 21세기형 한국 힙합의 실력자들로 인정받고 있는 듀오 인피니트 플로우와 버벌 진트의 결합만으로도 매니아들은 들뜨고 있다. 여기에 이현도가 아웃케스트의 음악에서나 만날 수 있는 bpm160의 파격적인 곡을 선사하다니, 이건 놀라운 구성과 조합이 아닐 수 없다. 앨범 작업초기부터 적잖은 랩퍼들이 꺼려하며, 자칫 사장될 수 있었던 이 곡을 헌정이라는 주제로 멋지게 부활시켰다.
17. Joy(이준, D.O feat. Lyn)
: 경쟁자이자 친구로 90년대를 함께해온 솔리드의 이준과 이현도의 합작품. 이 둘은 지금껏 아이러니컬 하게도 단 한번의 음악적 만남을 가진 바 없었다. 한국의 투팍이라 불릴만큼 멋진 저음을 지닌 이준의 영어랩과 희망을 얘기하는 이현도의 여유있는 랩이 우정이란 이름아래 멋지게 채색되어 있다. 2004년 최고의 여가수로 등극한 린은 두선배 뮤지션의 쉽지 않은 우정을 축복하는 달콤한 목소리를 선사하였다.
18. And You Don't Stop~Outro
: 디제이 렉스와 이현도가 함께한 앨범의 결론... 그래도 힙합은 멈추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