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와
국경을 넘어 도달한 초월적 사운드의 시공간
하우즈 카스 커넥션(Hauz Khas Connection / 신현필, 슈하일 유세프 칸, 비샬 나가르)은
동서양의 문화가 교차하고 전통과 현대가 융합된 땅 인도에서 결성됐다. 국적과 음악적 뿌리가 다른 세
사람이 만든 음악은 인도나 한국 전 세계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
History
of Hauz Khas Connection
버클리음대 출신 재즈 섹소포니스트 신현필은 지난해 여름 우연한 기회에 인도 정상급 전통음악 연주자 슈하일 유세프 칸 (Suhail Yusuf Khan)과 만난다. 당시 신현필과 남인도
전통 찰현악기 중 하나인 사랑기 연주자인 슈하일은 서로의 음악을 자신의 악기로 재해석하는 프로젝트를 각각 인도와 한국에서 진행한다. 이후 두 사람은 꾸준한 음악적인 교류를 나누며 나라와 배경, 장르를
넘어 ‘음악’이라는 공통어를 만들어보자는 합의에 도달했고, 곧바로 미국에서 활동중인 타블라 연주자 비샬
나가르 (Vishal Nagar)를 영입한다.
세 사람은 각각 서울과 델리, 캘리포니아에서 이메일을 통해 수십개의 스케치 연주파일들을 주고받으며
본격적인 곡 작업을 진행한다. 마침내 올해 초, 세 사람은
인도 델리의 하우즈 카스 지역에서 모여 역사적인 첫 합주와 녹음을 시작한다.
1st
Album [MILAAP]
‘함께한다’는 의미의 힌디어인 그들의 첫 번째 정규앨범 [MILAAP]은 인도 전통 선율인
라가(Raga)와 재즈의 교집합, 혹은 한국의 전통음악과
인도의 전통음악의 퓨전이라는 단순한 시도에 머물지 않는다. ‘한오백(500
years)’과 ‘Ghandi’s Song’과 같이 한국과 인도인들에게 익숙한 전통 선율에서
테마를 빌려온 곡들 조차도 원곡의 정서만을 남겨놓은 채 온전히 새로운 재해석을 시도했다.
재즈를 기반으로 한 ‘Alone at Paharganj’,
라가를 기본으로 한 ‘Indian Summer’ 등에서 하우즈 카스 커넥션의 섹소폰은 재즈
화성을 고집하지 않고 사랑기는 라가에 의지하지 않으며 타블라는 인도 고유의 리듬인 탈(Taal)에 집착하지
않는다. 또, ‘Rain
Longing’에서 신현필은 가장 서구적인 화성을 만들어내는 스트링을 직접 편곡해 녹음하기도 하고,
홀박 타블라 리듬을 기본으로 한 ‘7-9-11-7’ 에서는 가장 현대적인 신디사이져 사운드를
흡수하는 대범함까지 보인다.
Question
of ‘Hauz Khas Connection’...
하우즈 카스 커넥션은 극단적인 음악적 실험을 단순한 물리적 재구성이 아닌 화학적 결합의 수준으로 이끌어 낸다. 이는 멤버들이 단순히 장르가 아닌 자신의 연주 테크닉과 수세기를 걸쳐 현재의 모습으로 완성된 악기 고유의 울림에
집중했기에 가능했다. 하우즈 카스 커넥션은 소위 장르적 문법이란 결국 음악을 표현하기 위한 단순한 도구일
뿐이라는 사실을 환기시킨다. 하우즈 카스 커넥션을 재즈 혹은 인도 전통음악, 심지어 월드뮤직으로 단순히 카테고리화 시킬 수 없는 것은 이 때문이다.
재즈와 인도 전통음악이라는 전혀 다른 음악적 뿌리를 가진 세 사람이 가진 유일한 공통점은 연주자들이 즉흥적으로 합을 맞추는 소위 잼(Jam)을 기본적인 연주형태로 삼고 있다는 사실이다. 아이러니 한 것은 세 사람이 서울과 델리, 캘리포니아라는 물리적 거리를 두고 살아가고 있다는 점이다. 그들이 함께 녹음을 진행한 후 일련의 작업들은 인터넷이라는 초월적 시공간의 도구가 없었다면 기획조차 될 수 없었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 안에서 탄생한 하우즈 카스 커넥션의 음악이 연주자들의 열정으로 성장해 우리가 사는 물리적 세계에 도달했다. 이제 이들의 음악을 무엇으로 정의할 것이냐는 흥미로운 질문이 리스너들에게 던져졌다.
1. Intro
2. Indian Summer
3. 한오백년 (500 Years)
4. 7-9-11-7
5. Miyaan ki todi in Kalavati Taal
6. Miyaan ki todi in Teen Taal
7. Ghandi's Song
8. Interlude
9. Alone at Paharganj
10. Rain Longing